인사이드피플 장은미 기자 | 국가유산청 국립문화유산연구원은 익산시와 함께 2026년 2월 8일까지 익산 미륵사지(전북 익산시) 현장에서, 세계유산인 익산 미륵사 중문(동원·중원·서원) 건축물을 증강현실로 디지털 복원해 현장에서 보고 느낄 수 있는 '미륵사 디지털 복원 체험 안내센터'를 운영한다.
미륵사는 7세기 백제 무왕 때 왕실의 안녕과 중생의 불도를 기원하며 창건됐으며, 현재는 국보 '익산 미륵사지 석탑'이 남아있다. 3개의 탑과 금당, 승방, 강당이 각각 짝을 이뤄 동·서로 나란히 배치된 ‘3탑 3금당’의 독특한 형식을 갖고 있었다. 국립문화유산연구원은 2008년부터 진행해 온 미륵사 고증연구 결과를 토대로 미륵사의 동·서원 중문은 단층건물의 형태로, 중원 중문은 2층 규모의 평공포와 하앙구조의 두 가지 모습으로 디지털 복원했다.
참가자들은 ‘태블릿 컴퓨터(PC)’와 안경처럼 눈에 직접 착용하는 ‘스마트 글라스’를 사용해 미륵사 중문의 디지털 복원 과정을 담은 만화 영화(애니메이션)와 각 건축 부재에 대한 설명을 살펴보고, 확대·축소·회전 기능으로 건축물 곳곳을 자세히 들여다볼 수 있다. 이와 함께, 증강현실 속 미륵사를 배경으로 사진을 촬영하여 전자우편으로 전송할 수 있고, 4계절 배경을 적용해 보는 등 미륵사의 다채로운 매력을 한자리에서 체험할 수 있는 기회가 될 것이다.
미륵사 중문 디지털 복원 체험은 매주 화요일부터 일요일(월요일 휴무)까지 1일 6회 무료로 운영되며, 회차당 30명씩 참여할 수 있다. 현장 접수(회차당 5명) 또는 네이버에 ‘미륵사 디지털 복원 체험 안내센터’ 검색 후 예약 누리집(회차당 25명)에서 온라인 예약 가능하다.
국립문화유산연구원은 이번 운영 결과를 토대로 '미륵사 디지털 복원 체험 안내센터'의 개선 작업을 거쳐 향후 지속적으로 운영할 예정이다.
국가유산청 국립문화유산연구원은 이번 미륵사 중문을 시작으로 첨단 기술과 국가유산을 결합한 다양한 콘텐츠를 선보일 예정이며, 앞으로도 국가유산에 대한 지속적인 학술고증과 더불어, 누구나 국가유산을 생생하게 체험할 수 있는 K-디지털 콘텐츠를 확산해 나가는 적극행정을 펼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