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사이드피플 노재현 기자 | 태고총림 선암사(주지 승범)와 순천시 세계유산보존협의회(위원장 김준선)는 불기 2569년(서기 2025년) 5월 11~13일 선암사 선원 뒤 후원 차밭 등에서 자생하는 야생 찻잎 첫 수확과 함께 제다작업을 진행하며, 이 과정을 모두 기록화한다고 밝혔다.
선암사 차밭은 인위적으로 거름 한번 준 적 없는 자연 그대로의 모습으로 자연이 허락할 때 비로소 수확할 수 있다. 야생작설차-울력 활동은 전국에서 유일하게 사찰 스님과 신도들뿐만 아니라 사하촌 마을 주민들까지 함께 진행한다.
선암사 야생작설차의 찻잎은 자연이 선물하지만 차는 사람의 손으로 복잡한 과정을 거쳐 탄생하게 된다. 수확한 차는 생잎차를 고른 뒤 무쇠솥을 달구고, 잘 달구어진 무쇠솥에 찻잎을 넣은 후 잘 뭉치지 않게 덖음을 진행한다. 덖은 차는 찻잎 비비기(유념, 말기)를 해서 초벌을 끝내며, 이 과정은 무려 9번이나 반복된다.
우리나라 전통 ‘제다(製茶)’는 국가무형유산으로 지정돼 있으며, 특히 선암사가 있는 조계산권 제다는 천태종을 창종한 대각국사 의천에서 시작됐다고 고려․조선시대 문헌에 기록돼 있다.
선암사는 이처럼 1,000여 년이 넘게 이어져 내려오고 있는 소중한 무형유산의 전승보존체제 강화를 위해 특별히 올해에는 9월 12일부터 10월 3일까지 개최되는 ‘2025 세계유산축전-선암사, 순천갯벌’의 세계유산 아카이빙 사업의 일환으로 순천시와 함께 선암사 차․울력활동뿐만 아니라 제다에 참여하는 스님과 마을 주민들의 생생한 목소리까지 모두 기록으로 남길 계획이다.
선암사 주지 승범스님은 “선암사 제다활동은 자연이 준 선물을 사찰과 마을 공동체가 하나 되어 수확하는 아름다운 우리의 미풍양속으로, 오랜 시간 동안 자연이 남기고 선조들이 전해준 전통의 숨결을 꾸준히 잘 이어나갈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